자유를 위한 재테크

모르면 손해! 올웨더 금융 재테크 ETF 투자 가이드 (2025.2.10)

David IT 2025. 2. 10. 21:13


<오늘의 올웨더 재테크 전략 2025.2.10>


올웨더 투자 전략을 따르는 투자자라면 환율 전망을 단기적인 변동보다 장기적인 리스크 분산 관점에서 볼 가능성이 크지만, 현재 뉴스만 놓고 보면 달러 약세 가능성이 조금 더 커 보인다.



1. 달러 약세 요인:
• 미국 국채 금리 하락 (-4bp): 금리가 내려가면 미국 채권의 매력이 줄어들어 달러 수요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 연준 인사들의 금리 인하 기대: 금리 인하는 달러 약세를 유발하는 요인.
• S&P500 하락 & 안전자산 선호: 위험 회피 심리가 강해지면 엔화나 금 같은 안전자산으로 자금이 이동할 수 있음. 실제로 이번 주 엔화 가치가 2.5% 상승.

2. 달러 강세 요인:
• 트럼프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무역 전쟁 이슈가 다시 떠오르면 안전자산으로서 달러 강세 요인이 될 수도 있음.
• 원/달러 환율 주간 0.03% 상승: 한국 원화 기준으로 보면 달러가 아주 소폭 강세였음.

<달러 전망>

반응형


단기적으로 보면 금리 인하 기대감과 국채 금리 하락 영향으로 달러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지만,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면 불확실성 리스크가 커지면서 다시 안전자산 선호로 달러 강세로 전환될 수도 있음.

만약 지금 달러를 보유한 상태라면, 단기적으로는 조금 빠질 가능성이 있지만, 글로벌 경기 둔화나 무역 분쟁 이슈가 심화되면 다시 반등할 여지도 있다고 볼 수 있을 듯.


1. 유망한 투자처


1) (Gold) → 비중 확대 고려
• 미국 금리 하락 & 연준 금리 인하 기대 → 금 가격 상승 가능
• 트럼프의 관세 정책 & 글로벌 불확실성 증가 → 안전자산으로서 금 수요 증가
• 달러 약세 가능성 → 금 가격 상승 요인

=> 올웨더 포트폴리오에서 금은 핵심적인 헤지 자산이므로, 지금처럼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추가 매수 고려 가능.

2) 엔화 (JPY) or 일본 국채 → 단기적 투자 고려
• 미국 금리 하락 → 안전자산인 엔화 강세
•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 리스크 회피 심리 강화

=> 엔화 강세가 지속될 경우 엔화 자산을 단기적으로 보유하는 전략도 가능. 하지만 일본은행(BOJ)이 금리 정책을 조정하면 다시 약세로 갈 수 있으므로 너무 많은 비중을 싣는 건 위험.

3) 미국 국채 (특히 장기물, 10년 이상) → 비중 확대 고려
•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 상승
• 미국 국채 금리 하락 → 국채 가격 상승 가능성
• 올웨더 전략의 핵심 자산 중 하나 (경제 둔화 대비 헤지 가능)

=> 금리 인하가 현실화되면 미국 국채(특히 장기물)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크므로, 미리 비중을 늘려두는 전략 가능.



2. 주의할 투자처


1) 미국 주식 (S&P500, 나스닥 등) → 신중한 접근 필요
• 트럼프의 추가 관세 부과 계획 → 기업 비용 증가 & 무역 갈등 우려
•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 기업 실적에 부담
• 현재 S&P500 하락세

=> 올웨더 전략상 주식은 항상 일정 비중을 유지해야 하지만, 단기적으로 추가 매수는 신중해야 할 시점. 대신 조정이 깊어지면 기회가 될 수도 있음.

2) 원화 자산 (KRW) → 당분간 보수적 접근
• 원/달러 환율이 주간 기준 소폭 상승했지만, 달러가 다시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도 있음.
• 한국 CDS(신용부도스와프)가 약보합 → 투자자들이 한국 리스크를 크게 신경 쓰지는 않는 상태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면 신흥국 통화가 약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음.

=> 단기적으로 원화 자산의 추가 투자는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

< 결론 >

▶ 금 (Gold) & 미국 국채 (특히 장기물) → 비중 확대
▶ 엔화 (JPY) → 단기적 투자 고려
▶ 미국 주식 → 당분간 보수적, 하지만 큰 조정 시 매수 기회 탐색 또는 저가 분할 매수

올웨더 전략상 항상 주식, 채권, 원자재(금), 현금(달러 등)을 균형 있게 배분해야 하지만, 지금과 같은 환경에서는 금과 미국 국채(장기물) 비중을 조금 더 늘리는 전략이 유리해 보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