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위한 재테크

모르면 손해! 올웨더 금융 재테크 ETF 투자 가이드 (2025.2.7)

David IT 2025. 2. 7. 22:01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경제 상황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도록 설계되었지만, 현재 뉴스 흐름을 고려하면 몇 가지 조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



1. 미국 국채금리 하락과 달러 강세 → 장기채 비중 유지 또는 확대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최근 하락했다는 건, 시장이 경기 둔화 또는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일부 반영하고 있다는 뜻.
• 하지만 주간 신규실업급여가 예상치를 상회했음에도 “고용 여건이 양호하다”고 해석된 걸 보면, 연준이 즉각적인 금리 인하를 고려할 가능성은 낮아 보임.
• 즉, 장기적으로 금리가 추가 하락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장기채(TLT 같은 ETF) 비중을 유지하거나 소폭 확대하는 게 유리할 수 있음.

2. 영란은행 금리 인하 → 유럽 주식 투자 기회
• 영란은행이 금리를 0.25%p 내렸다는 건 영국 및 유럽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신호지만, 동시에 유로 Stoxx600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걸 보면 시장은 긍정적으로 반응하고 있음.
• 유럽 주식(EZU, VGK 등)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달러 강세를 고려해 환헤지 상품(HEZU 등)도 고려할 만함.

3. 일본은행의 긴축 신호 → 엔화 강세, 일본 주식 조정 가능성
• 일본은행 타무라 위원이 2025년 하반기까지 단기금리를 1.00%로 올릴 필요가 있다고 발언한 건 엔화 강세 요인.
• 오늘도 엔화가 0.8% 상승했고, 이는 일본 주식시장에는 부담이 될 수 있음.
• 따라서, 일본 주식(NIKKEI 225 관련 ETF: EWJ 등)에 대한 비중을 줄이거나 신중하게 접근하는 게 좋겠음.
• 반대로, 엔화 강세를 활용해 JPY 현금이나 엔화 채권(BBWIX 같은 펀드)을 일부 늘리는 것도 고려할 만함.

4. 위험자산 선호 지속 → 주식 비중 유지 또는 확대
• 미국 S&P500이 반도체 섹터 강세에 힘입어 상승했고, AI 관련 기대감도 유지되고 있음.
•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이어진다면 주식(특히 기술주 및 반도체 관련 ETF: QQQ, SMH 등) 비중을 유지하거나 약간 늘리는 게 좋을 듯.

5. 금 가격 조정 가능성 → 금 투자 주의
• 보통 금리는 상승하면 금 가격에 부담이 되는데, 미국 10년물 금리가 2bp 상승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금 가격이 단기적으로 조정을 받을 수도 있음.
• 따라서 기존 금 보유 비중을 유지하되, 추가 매수는 신중하게 접근하는 게 좋을 듯.


<최종 포트폴리오 조정 아이디어>

반응형


1. 장기채 (TLT) 비중 유지 또는 소폭 확대 → 국채금리 추가 하락 가능성 고려
2. 유럽 주식 (EZU, VGK 등) 비중 확대 → 금리 인하에 따른 주식시장 강세 반영
3. 엔화 강세 대응 → 일본 주식(EWJ) 비중 축소, 엔화 채권 비중 확대 고려
4. 미국 주식(특히 반도체/AI) 비중 유지 또는 확대 → 위험자산 선호 지속
5. 금 추가 매수는 신중히 접근 → 금리가 상승하면 단기적으로 조정 가능성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