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위한 재테크

이거 몰랐다간 손해! 아시아 국가 경제 순위와 ETF 수익률 비교

David IT 2025. 1. 16. 09:13

<아시아 국가 경제 순위>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규모는 일반적으로 명목 국내총생산(GDP)을 기준으로 평가됩니다.

2023년 기준으로 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명목 GDP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중국: $17조 7,950억
2. 일본: $4조 2,130억
3. 인도: $3조 5,500억
4. 대한민국: $1조 7,130억
5. 인도네시아: $1조 3,710억
6. 사우디아라비아: $1조 680억
7. 태국: $5,150억
8. 이스라엘: $5,100억
9. 아랍에미리트: $5,040억
10. 싱가포르: $5,010억

이러한 수치는 각국의 경제 규모를 나타내며, 경제력 비교에 활용됩니다. 

반응형



<아시아 주요 국가 주가지수 상승률>


아시아 주요 국가들의 지난 10년간 주가지수 상승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본 (닛케이 225 지수): 2010년 대비 약 2배 이상 상승하여, 2018년 이후 22,000포인트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 중국 (상하이 종합지수): 2010년 이후 2015년에 최고치인 5,166포인트를 기록했으나, 현재는 2010년보다 소폭 상승한 3,000포인트대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 홍콩 (항셍 지수): 2018년 초에 33,154포인트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현재는 2010년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대만 (타이완 가권 지수): 2024년 연초 대비 7월 24일까지 약 27.6% 상승하였습니다.

• 인도 (센섹스 지수): 2024년 연초 대비 7월 24일까지 약 12.3% 상승하였습니다. 

• 싱가포르 (STI 지수): 2010년 이후 주가지수는 큰 변동 없이 3,000포인트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 태국 (SET 지수): 2010년 이후 주가지수는 1,000 포인트대에서 1,600포인트대로 상승하였으나, 최근에는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 인도네시아 (JCI 지수): 2010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2,500포인트대에서 현재 6,000포인트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사우디아라비아 (TASI 지수): 2010년 이후 6,000포인트대에서 현재 11,000포인트대로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상승률은 각국의 경제 성장, 산업 구조, 정책 등에 따라 상이하며, 투자 시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시아 주요 ETF>


해당 국가들의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투자 시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 iShares MSCI Japan ETF (EWJ): 일본 시장의 MSCI Japan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Taiwan ETF (EWT): 대만 시장의 MSCI Taiwan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Singapore ETF (EWS): 싱가포르 시장의 MSCI Singapore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Malaysia ETF (EWM): 말레이시아 시장의 MSCI Malaysia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Hong Kong ETF (EWH): 홍콩 시장의 MSCI Hong Kong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WisdomTree India Earnings Fund (EPI): 인도 시장의 주요 기업들을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Indonesia ETF (EIDO): 인도네시아 시장의 MSCI Indonesia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Thailand ETF (THD): 태국 시장의 MSCI Thailand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 iShares MSCI Saudi Arabia ETF (KSA):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의 MSCI Saudi Arabia 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아시아 ETF 수익률>


참고로, SPDR S&P 500 ETF Trust (SPY):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20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iShares MSCI Japan ETF (EWJ): 일본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6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 iShares MSCI Taiwan ETF (EWT): 대만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15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iShares MSCI Singapore ETF (EWS): 싱가포르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2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 iShares MSCI Malaysia ETF (EWM): 말레이시아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1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iShares MSCI Hong Kong ETF (EWH): 홍콩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3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 WisdomTree India Earnings Fund (EPI): 인도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10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iShares MSCI Indonesia ETF (EIDO): 인도네시아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5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 iShares MSCI Thailand ETF (THD): 태국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10년간 약 40%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습니다.

• iShares MSCI Saudi Arabia ETF (KSA): 사우디아라비아 시장을 추종하는 ETF로, 2015년 설정 이후 약 30% 이상의 수익률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수익률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투자 시에는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한국 ETF>


한국 시장을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는 국내와 해외에 상장된 ETF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ETF들입니다:

해외 상장된 한국 시장 추종 ETF
1. iShares MSCI South Korea ETF (EWY)
• 상장: 미국 (NYSE Arca)
• 추종 지수: MSCI South Korea Index
• 특징: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현대차 등 주요 한국 대기업들에 집중.
• 규모: 가장 큰 한국 시장 관련 해외 ETF.
2. VanEck Korea ETF (KF)
• 상장: 미국 (NYSE Arca)
• 추종 지수: MVIS South Korea Index
• 특징: 한국의 다양한 산업군에 투자.
3. Franklin FTSE South Korea ETF (FLKR)
• 상장: 미국 (NYSE Arca)
• 추종 지수: FTSE South Korea Capped Index
• 특징: 낮은 수수료와 분산 투자.
4. Xtrackers MSCI South Korea Hedged Equity ETF (DBKO)
• 상장: 미국
• 추종 지수: MSCI South Korea 25/50 Index
• 특징: 환율 변동 위험을 헤지(hedge)하는 상품.

국내 상장된 한국 시장 추종 ETF
1. KODEX 200
• 상장: 한국 (코스피)
• 추종 지수: KOSPI 200
• 특징: 국내 가장 인기 있는 ETF, 코스피 200의 주요 기업에 투자.
2. TIGER 200
• 상장: 한국 (코스피)
• 추종 지수: KOSPI 200
• 특징: KODEX 200과 유사하지만 운용사는 미래에셋.
3. KODEX 삼성그룹
• 상장: 한국 (코스피)
• 추종 지수: 삼성그룹 계열사 주식.
• 특징: 삼성전자 및 삼성 계열사에 집중 투자.
4. TIGER MSCI Korea
• 상장: 한국 (코스피)
• 추종 지수: MSCI Korea Index
• 특징: 글로벌 투자자를 겨냥한 상품.
5. ARIRANG KOSPI200
• 상장: 한국 (코스피)
• 추종 지수: KOSPI 200
• 특징: 낮은 수수료가 강점.

ETF 투자 시 고려할 점
• 운용 수수료: 해외 상장 ETF는 국내 상장 ETF보다 수수료가 다소 높은 편입니다.
• 환율 리스크: 해외 상장 ETF는 달러로 거래되므로 환율 변동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분산 투자: ETF가 추종하는 지수에 따라 포함된 섹터나 기업 비중이 다를 수 있으니, 상품 내용을 잘 확인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