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위한 재테크

이거 몰랐다간 손해! 케익값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 <인플레이션 재테크 투자편>

David IT 2025. 1. 7. 09:45

 

파리크라상 딸기스윗초콜릿



<10년 케익값 120% 상승률>


2024년 기준으로 ‘마이넘버원’ 케이크(18cm)의 가격은 33,000원입니다. (파리바게뜨의 케이크 가격은 제품 종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며, 매장 위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음.)

10년 전인 2014년에는 ‘포시즌 생크림케이크’가 15,000원에 판매되었습니다. 

이를 비교하면, 2014년 15,000원이었던 케이크가 2024년에는 33,000원으로 약 120%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연평균 약 8.2%의 상승률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원자재 비용 증가, 인건비 상승, 물가 상승 등 다양한 요인에 기인할 수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상승률>

반응형


서울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지난 10년 동안 상당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011년 평균 약 4억 5,470만 원이었던 것이 10년 후인 2021년에는 약 14억 2,927만 원으로 약 314% 증가하였습니다. 

또한,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서울 아파트 평균가는 5억 원대였으나, 2024년에는 13억 원에 육박하여 2015년 대비 약 125.5%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상승률을 연평균으로 환산하면 약 12%에서 13% 사이로 추정됩니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으며, 특히 강남 3구(강남, 서초, 송파)와 마용성(마포, 용산, 성동) 지역에서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서초구의 경우 2008년 대비 2018년에 아파트 값이 182% 상승하였습니다. 



<인플레이션 재테크 투자>


이런 엄청난 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예금이나 적금은 실질 구매력을 보존하기 어렵기 때문에 실질 수익률을 보존하거나 자산 가치를 방어할 수 있는 투자처를 고려해야 합니다.

아래는 주요 헷지 투자 전략입니다.

1. 실물 자산

① 부동산
• 장점: 인플레이션과 함께 부동산 가치 상승 가능성.
• 대상: 주거용, 상업용 부동산, 리츠(REITs) 투자.
• 팁: 입지와 임대 수익률이 높은 지역에 투자.

② 금과 귀금속
• 장점: 금은 역사적으로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인정.
• 대상: 실물 금, 금 ETF, 금 관련 주식.
• 팁: 금은 보유 비용이 크지 않은 ETF로 접근 가능.

③ 원자재 (Commodities)
• 장점: 인플레이션 시 원자재 가격 상승.
• 대상: 원유, 농산물, 구리 등.
• 팁: 원자재 ETF나 선물 투자로 간접 투자.

2. 주식 및 배당주

① 방어적 산업 주식
• 대상: 에너지, 식품, 헬스케어, 필수 소비재 기업.
• 장점: 필수재 기업은 경기 민감도가 낮아 안정적.

② 배당주
• 장점: 인플레이션 상승에도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 제공.
• 팁: 배당성장률이 높은 기업을 선택.

③ 성장주
• 대상: 인플레이션을 압도하는 고성장 기술주.
• 주의: 금리 상승기에 성장주는 변동성이 커질 수 있음.

3. 대체 투자

① 인프라 투자
• 대상: 전력, 수도, 통신망 같은 인프라 자산.
• 장점: 인플레이션 상승 시 요금도 상승 가능.

② 암호화폐
• 대상: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 장점: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일부 헷지 효과.
• 주의: 변동성이 크므로 소액 투자 권장.

③ 예술품 및 수집품
• 대상: 미술품, 고급 와인, 희귀 장난감 등.
• 장점: 제한된 공급으로 가치 상승 가능.
• 팁: 전문 지식을 갖추거나 플랫폼을 이용.

4. 채권

① 물가연동채권 (TIPS)
• 장점: 물가 상승에 따라 원금과 이자가 조정.
• 대상: 한국에서는 K-TIPS(국채 물가연동채권).

② 단기 채권
• 장점: 금리 상승기에 위험이 낮고 유동성 유지.

5. 달러 및 외화 투자
• 장점: 인플레이션 시 환율 상승으로 자산 가치 보존.
• 대상: 달러 예금, 외화 ETF, 달러채권.
• 팁: 원화 약세 시 효과적.

6. 기업형 투자

① 벤처 캐피털 및 스타트업
• 장점: 고수익 가능성.
• 팁: 유망 스타트업에 소액 분산 투자.

② 사업 투자
• 장점: 수익률이 높은 비즈니스 모델 운영.

정리 및 전략
1. 분산 투자: 다양한 자산군에 분산해 리스크 관리.
2. 유동성 고려: 비상금은 예금으로 유지하고 여유 자금만 투자.
3. 전문가 상담: 리스크가 높은 자산은 금융 전문가와 상의.
4. 장기적 관점: 인플레이션 헷지는 단기보다는 중장기 투자 전략에 적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