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요약
• 미국 7월 구인건수, 10개월 만에 최저 → 고용 둔화, 9월 금리인하 기대 강화
• 연준 인사 발언 엇갈림: 월러 이사(다수 인하 필요) vs 애틀랜타 연은 총재(연내 1회)
• 중국 서비스업 PMI 15개월래 최고치 → 내수 및 수출 모두 호조
• 일본은행: 경제 전망 현실화 시 금리인상 지속, 다만 유연성도 강조
• 시장 반응: 美 주식 상승, 달러 약세, 국채금리 하락
2. 자산별 분석
주식 (Equity)
• 미국: S&P500, 금리인하 기대와 대형 기술주(Alphabet 등) 강세로 상승
• 유럽: Stoxx600, 장기금리 하락에 힘입어 0.7% 상승
• 중국: 서비스업 PMI 개선이 단기 모멘텀, 내수 + 수출 쌍끌이
환율 (FX)
• 달러화지수 약세 (-0.3%)
• 유로/엔 소폭 강세 (+0.2%)
• 원/달러 NDF 1387.9원, 스왑 반영 시 1390.4원 → 원화 강세 압력
금리 (Bond)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4bp, 연준의 금리인하 신호 반영
• 독일 10년물도 미국 추종해 -5bp
원자재 (Commodities)
• 안전자산 선호 + 달러 약세 → 금 가격 강세 요인
• 원유는 중국 지표 호조로 수요 기대감 부각
3. 주요 경제지표
• 미국 7월 JOLTS 구인건수: 10개월래 최저
• 중국 8월 서비스업 PMI: 15개월래 최고치
• 미국 국채금리: 10년물 4bp 하락
• 원/달러 환율: 1390원 근처
4. 투자 전략
• 단기 (3개월):
• 미국 금리인하 기대 → 빅테크, 성장주, 장기채 ETF(TLT) 유리
• 달러 약세 → 원화·유로 강세 자산 매력 상승
• 중국 경기 지표 개선에 따른 중국 소비·서비스 관련 ETF 단기 반등 가능성
• 중기 (6~12개월):
•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 → 미국 주식 + 장기채 동시 강세 가능성
• 단, 고용 둔화가 경기침체로 전이될 경우 경기민감주(에너지·소재) 리스크
5. 자산배분 제안 (예시)
• 미국 S&P500 ETF (VOO/IVV) → 40%
• 기술 성장 ETF (QQQ, SOXX) → 20%
• 장기채 ETF (TLT, EDV) → 15%
• 금 ETF (GLD, IAU) → 10%
• 중국/아시아 신흥국 ETF (MCHI, AIA) → 5%
• 현금/단기채 → 10%
결과적으로, 미국 고용 둔화는 연준의 금리인하 명분을 강화
-달러 약세 + 국채금리 하락 → 주식·채권·금 동반 강세 구도
-중국 지표 개선, 일본 통화정책 유연성은 글로벌 리스크 완화 요인
-9월 FOMC 전까지는 위험자산 선호 국면 지속 가능
#투자리포트 #금리인하 #미국증시 #채권투자 #ETF #글로벌경제 #중국PMI #연준
'자유를 위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지코인 ETF 열풍, 이번엔 진짜일까? 밈코인이 월스트리트를 정복하다! (0) | 2025.09.09 |
---|---|
미국 금리 인하 vs 무역 전쟁, 시장은 어디로? (0) | 2025.09.05 |
충격! 은마아파트가 49층으로 솟는다 (0) | 2025.09.03 |
Nvidia는 웃었지만, 데이터센터는 울었다 (3) | 2025.08.28 |
AI로 분석한 TECL ETF 분할매수 전략 (실제 경험담) (2)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