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ETF(종목코드: 457480)와 KODEX 미국 S&P500TR ETF(종목코드: 276990)는
투자 대상과 전략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입니다.
1.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 ETF >
• 투자 대상: 테슬라와 그에 속한 기업들에 집중 투자.특히 테슬라 주식과 테슬라 레버리지 ETF(TSLL)를 포함하여 테슬라에 대한 높은 노출도를 유지. 
• 운용 전략: 액티브 펀드로서, 운용사가 적극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 시장 대비 초과 수익을 추구. 테슬라 관련 기업들의 비중을 조절하고, 테슬라 레버리지 ETF를 활용하여 노출을 극대화. 
• 수익률 및 변동성: 테슬라 주가의 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테슬라 주가 상승 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하락 시 손실 위험도 큼.
최근 6개월 수익률에서 테슬라 주가 상승에 힘입어 대단한 성과를 보였음. 
< KODEX 미국 S&P500TR ETF >
• 투자 대상: 미국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인 S&P500 지수 추종, 미국 대형주 500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 투자.
• 운용 전략: 패시브 펀드로서, S&P500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추종하도록 설계. 특히 TR(Total Return) 형태로, 배당금 등을 재투자하여 총수익률을 극대화. 
• 수익률 및 변동성: 미국 주식시장의 전반적인 흐름을 반영, 개별 기업의 변동성보다는 시장 전체의 움직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
따라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시장 하락 시에는 전체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3. 비교 요약
• 투자 집중도:
-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는 특정 기업(테슬라)과 그 관련 산업에 집중 투자하여 높은 변동성과 수익 잠재력.
- KODEX 미국 S&P500TR은 미국 전체 시장에 분산 투자하여 안정성을 추구.
• 운용 방식:
- ACE는 액티브 운용으로 시장 대비 초과 수익 목표
- KODEX는 패시브 운용으로 지수 수익률을 추종.
• 위험 및 수익률:
- ACE는 테슬라 주가에 크게 의존하여 높은 수익과 손실 가능성
-KODEX는 시장 평균 수익률을 목표로 하여 비교적 낮은 변동성.
투자 목적과 위험 선호도에 따라 적합한 ETF를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테슬라의 성장 잠재력을 믿는다면 ACE 테슬라밸류체인액티브가,
미국 전체 시장의 안정적인 성과를 원한다면 KODEX 미국 S&P500TR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수익률과 포트폴리오 상위항목>
'자유를 위한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 투자자를 위한 재테크 필독서 소개 (2) | 2024.12.26 |
---|---|
이거 몰랐다간 손해! 미국 ETF 상위 10개 수익률 분석 (0) | 2024.12.24 |
이거 몰랐다간 손해! 2025년 고환율 시기에 재테크 방향 (35) | 2024.12.23 |
이거 몰랐다간 손해! 미증시 산타랠리 뜻과 기존 수익율을 알아보자 (2) | 2024.12.20 |
이거 몰랐다간 손해! 아무도 알려주지 않는 애드센스 승인 비법 (2) | 2024.12.18 |